행복주택 26형, 36형 기준, 선택가이드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하지만, 이마저도 지역에 따라 들어가기 어렵고, 막상 들어가려니 생각보다 좁아 답답하기도 합니다. 행복주택 26형, 36형 기준을 살펴보고 선택가이드의 최소 지점을 잡아보세요.
<행복주택 26형, 36형 기준, 선택가이드>
처음에 행복주택 16형, 26형, 36형, 44형 등의 이야기를 할 때 평수인 줄 알았어요. 저 평수를 저리 저렴하게 들어갈 수 있다면 정말 대박이네~ 했는데, 나중에 진실을 알고 나니 어이없더군요. ㅋ 신혼부부인 제 동생도 노리고 있는 상황인데 쉽지 않은 것 같더군요.
행복주택 26형, 36형 기준
정책 소개상 아주 멋집니다. 역세권, 학세권, 숲세권을 표방하고 단지 내 유치원, 경로당, 놀이터 등 부대시설이 잘되어 있다고 강조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다는 것!
- 청년 : 만 19 ~ 39세, 소득 활동 기간 5년 이내, 또는 퇴직 후 1년 이내이면서 구직급여 수급 자격 되는 사람
- 대학생 : 미혼, 대학교 재학 & 졸업/중퇴 2년 이내
- 예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 결혼 7년 이내, 6세 이하 자녀 둔 부부, 만 6세 이하 자녀 둔 한부모가족
- 산단근로자 : 인근 산업단지의 입주 기업에 재직 중
- 고령자,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주거급여 수급자도 해당
행복주택 26형, 행복주택 36형은 평수가 아닙니다. 행복주택 26형은 약 8평 정도이며, 36형은 약 11평 정도 됩니다. 16형은 5평이 안 됩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최소 26형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정말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16형은 비추입니다. 너무 좁아요. 살기 답답한 정도...;;
LH청양센터, 마이홈포털에 가면 '행복주택 자가진단'을 통해 입주 가능 여부를 볼 수 있으니 분양임대 정보를 살펴봐 가면서 신청해보면 되겠습니다. 뭐든 첫 선택이 중요합니다. 첫 단추 잘못 끼워 넣으면 골치 아프지요. 평수 선택할 때 참고하셨으면 좋겠네요.
[아래 유용한 글들]